[2021. 8. 12 부동산개발/금융 동향 ]
작성자 lizbae
■ 정부, 주택공급 확대…사전청약 늘리고 신규 택지 발굴한다 (뉴스1)
https://bit.ly/3s5ss6a

■ 이마트 본사 몸값, 1조 가능할까 (팍스넷)
https://bit.ly/3lSvUju

■ 올해 수도권 공공분양 물량 역대 최대 (파이낸셜)
https://bit.ly/3yxTzt7

■ 사전청약 힘든 30대…중저가 아파트, 빌라로 몰린다 (아시아경제)
https://bit.ly/37xUi1v

■ 롯데월드타워 오피스, 오픈 4년 만에 100% 임대 달성 (조선)
https://bit.ly/3yCX1Tt

■ ‘호반‧반도‧우미’ 신림1구역 출사표…중견건설 일 낼까? (인사이트코리아)
https://bit.ly/3s5UaQl

■ 10월부터 빈집 철거 명령 어기면 이행강제금 부과 (연합)
https://bit.ly/3AAchRh

■ 경기도, 저소득층에 '부동산 중개수수료' 30만원 지원 (뉴시스)
https://bit.ly/3lSt0vd

■ 공원 안에 들어서는 아파트?…민간공원 특례사업이 뭐길래 (이데일리)
https://bit.ly/3lTsblF

■ 토지소유상한 이익환수강화, 與경선 부동산 反시장 공약 쏟아진다 (매경)
- 재보선땐 공급확대·감세 등 규제완화 목소리 쏟아졌지만
- 경선 시작되자 '反시장' 외쳐, 전통적 黨지지층 의식한 듯
- 선두권 이재명·이낙연도 '매파', 정세균·박용진만 親시장 기조
- 야권의 규제 완화론과 대치, 내년 본선에서 약점될수도
https://bit.ly/2X5sDmz

■ 정세균 "학교부지 1~5층 교실, 6층부터 주거용" (연합)
- "280만호 공급폭탄, 4년前 집값으로 되돌리겠다"
https://bit.ly/3s41EDk

> 시장의 반응은?
- 정세균의 '초품아' 공약에, "靑위에 150층" vs "신선하네" 엇갈린 반응
https://bit.ly/3AqXcBJ

■ 정부합동 <광주 붕괴사고 재발방지 대책> 발표 (국토부)
- [해체공사 안전강화] 공사 전 단계에 걸쳐 제도의 현장 이행력 제고
- [불법하도급 차단] 사후처벌 강화·시공사 간 상호 감시·견제 유도
https://bit.ly/2VNIZQq

■ 디지털 트윈국토 향한 첫 걸음, 10개 시범사업 선정·발표 (국토부)
- 인천·제주 등 10개 지역 선정, 국비 35억 포함 1년간 50억 원 지원
https://bit.ly/3xBNBGn

■ 잠실5단지 '3년 걸림돌' 교육영향평가 통과 (한경)
- 재건축 사업 속도 '기대'
- 신천초 부지 이전 이견 컸지만 서울시 양보로 교육청과 합의, 정비계획안 상정 걸림돌 제거
- 최고 50층 6402가구 건립 추진, 주민 갈등과 시장 불안이 '변수'
https://bit.ly/3AxGr7M

■ 1㎡당 아파트값 600만원 돌파, 서울은 '키맞추기' 지속 (대한경제)
- 서울은 중저가 단지들이 '키 맞추기'를 지속하며 1000만원을 넘기는 지역 증가
https://bit.ly/3yClOGZ

■ KTB자산운용, 5,500억 규모 해외 대체투자 펀드 조성 (서경)
- KTB자산운용이 미국 멀티패밀리(임대주택) 대출형 상품에 주로 투자하는 5,500억 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
- 향후 3년간 미국 주요 도시 멀티패밀리 대출채권 및 이를 기초로 한 상품에 투자할 예정이며, 펀드 자산의 50% 가량은 Freddie Mac(미국 정부후원기업인 연방 주택금융 저당회사)에서 멀티패밀리 선순위 대출을 기초로 발행하는 K-Deal 상품에 투자할 계획
- '임대주택'을 뜻하는 멀티패밀리는 낮은 공실률과 안정적인 임대 수익으로 과거 금융위기 당시 오피스·호텔·리테일 등의 자산과 비교해 가격 하락 리스크가 적은 자산으로 인정
- 해당 펀드가 집중 투자하는 중산층 대상 멀티패밀리는 현재 코로나19가 지속되는 상황에서도 자산 가격 하락 없이 안정적 배당 수익을 내며 물류센터와 함께 코로나19 수혜 자산으로 각광
https://bit.ly/3xDxVT5

■ 알파운용, 경기도 물류센터 투자펀드 내놨다 (더벨)
- 화성시 저온·상온 물류, 코레이트자산운용이 설정한 펀드를 인수하는 재간접 구조로 설계
- 목표 수익률 6%대, GS리테일은 개발이 완료되면 장기 임차를 진행할 전망, 임차 기간은 5년여 가량
https://bit.ly/3Cz3CR4

■ [건설업계 신시장 찾기 계속된다] 담벼락 허물고 신시장 엿본다 (대한경제)
- GS건설, GS이니마 수처리 사업, 영국 및 폴란드 모듈러 주택업체 인수, 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링 사업, 데이터센터 임대업 진출
- SK에코플랜트, 친환경 신사업 개발과 인수합병(M&A) 등에 2023년까지 총 3조원을 투자한다는 계획
- DL이앤씨, 탄소중립을 신성장 동력 기회로 활용하기 위해 이산화탄소 포집 및 수소, 신재생 에너지 등 친환경 신사업을 추진 중
- 아이에스동서는 인선이엔티를 통해 폐기물 처리를 주력으로 하는 환경 전문기업으로 거듭
https://bit.ly/2VO0j7U

■ [건설업계 신시장 찾기 계속된다] 밖에서 안에서, 영역 확장 분주 (대한경제)
- 인수합병하거나 투자하거나, 신시장 진출·시너지 효과 포석
https://bit.ly/3s5U6QB

■ [건설업계 신시장 찾기 계속된다] 창투사 따로 없다, 스타트업 지분투자 새 트렌드 (대한경제)
- 건설사, 스마트건설ㆍ친환경 신기술 등 투자 다각화
- 한라는 기체분리막 선도기업인 '에어레인'에 지분을 투자하는 등 친환경 신기술 시장에 관심
https://bit.ly/2U7WFoF

■ HDC현대산업개발
• "부실공사 묵인" HDC현대산업개발, 처벌 수위는? (뉴시스)
- 사고위 조사결과 "무리한 철거계획 알고도 묵인"
- 현행법상 재하도급 묵인시 과태료만 부과 받아
- 유가족 "현대산업개발 경영자 처벌도 이뤄져야"
https://bit.ly/3lW2np9

■ 대우건설
• 중흥, 대우건설 몸값 2.1조 자금줄은 '장남 회사' (머니S)
- 중흥토건 대우건설 M&A 자금조달 계획은?
- 부동산 자산 1조원대, 중흥 "매각 계획 없다"
- 차입 때 부채비율 위험 없나
https://bit.ly/3yD5YvU

• 대우건설, '돈 되는' 아파트 공사실적 선두 등극 (더벨)
- 수익성이 높은 아파트 부문 공사실적은 대우건설 > GS건설 > 포스코건설 > 현대건설 순, 삼성물산 10위권 밖
https://bit.ly/2XipgJe

■ 삼성엔지니어링
• "기본설계로 연계수주까지" 삼성엔지니어링 '메가 프로젝트' 수주 비결 (뉴스1)
- 'FEED to EPC 전략' 멕시코 정유·말레이 석유화학 적중
- 기본설계로 발주처와 초기부터 소통 강화, 연계 수주로 효율성 극대화
https://bit.ly/3yHULu0

■ 맥쿼리인프라
• 맥쿼리인프라, 유상증자 흥행, 기관·개인 다 잡았다 (더벨)
- 주가 안정성·초과청약 호재, 완판 성공, 도시가스 실탄 마련, 투자처 확대 '청신호'
https://bit.ly/3iD7rwQ

■ 쌍용C&E
• '이익률 하락' 쌍용C&E, 원가관리 자신감 근거는 (더벨)
- 유연탄 가격 급등, 수익성 우려 "순환연료 사용·시멘트 가격 상승, 문제 없다"
https://bit.ly/3jI0DgC

■ 유진기업
• '레미콘 1위' 유진기업, 신사업 성과 낸다, 종합 건자재 유통사 도약 (더밸류)
- '레미콘 1위' 기반 건자재 유통 성장, 매출액 30% 넘어, 종합 건자재 유통사 도약, 신사업도
- '에이스 하드웨어' 잠재력 갖춰, 미국 '홈 데포' 성장 기대, 공간 인테리어 '유진디랩'도
https://bit.ly/3fTN8JI

■ 동부건설
• 한진重 인수 앞둔 동부건설, '정상화' 자금 확보 (더벨)
- 관계사 엠케이전자 덕 454억 마련, 동부엔텍, 새 주인과 시너지 기대
https://bit.ly/3gaR2Oz

항상 건강하시고, 오늘도 행복하십시오.
감사드립니다.

제공- 미래건설 장태일 부회장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