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9. 7 부동산개발/금융 동향]
작성자 lizbae
■ 청년 · 신혼부부 등 무주택자의 내집 마련을 위한 누구나집 시범사업 택지공모 8일부터 시행 (국토부)
https://bit.ly/3BKraBo
■ 주택 공급부족·과잉 유동성에 편법·변종 주거시설 판친다 (연합)
https://bit.ly/38MwFTD
■ “○억 아래론 안돼” 입주민 집값 담합땐 벌금 최고 3000만원 (동아)
https://bit.ly/3yRIzWO
■ '한남동 노른자위' 땅에 공원? 고급주택?…市 계획에 '뒷말 무성' (뉴스1)
https://bit.ly/3tfNNKW
■ 8월 전국 아파트 낙찰가율 106.7%…역대 최고기록 (이데일리)
https://bit.ly/38POdOt
■ 4500가구 올림픽훼밀리 재건축 시동… ‘제 2의 헬리오’ 탄생하나 (아시아경제)
https://bit.ly/3tgPbwG
■ “벽화대신 25층 아파트 필요”...7층 규제완화에 창신동 ‘들썩’ (헤럴드)
https://bit.ly/3l0sglw
■ 현대건설, '2400억' 싱가포르 빌딩 재개발 공사 수주 (머투)
https://bit.ly/2WWxXZT
■ 오세훈표 '공공기획' 온도차, 재개발 훈풍, 재건축은 난항 (파이낸셜)
- 재개발 희망지역 20곳 넘어, 도시재생지역 허용에 문의 잇따라
- 재건축은 시작부터 보류 위기, '오금현대' 소통부재 이유로 반대, 21% 높은 임대비율도 사업 걸림돌
https://bit.ly/3tjfkel
■ "재초환 유예 필요" 재건축 조합 48곳 연대 결성 (뉴스1)
- 강남권 등 전국 재건축 조합 참여, 9일 설립총회
https://bit.ly/3zRgnVw
■ '집주인, 실거주하려면 세입자 동의 얻어라?' 황당한 법원 판결 잇따라 (디타)
- 새 집주인이 실거주 사실을 세입자에게 알리고 부동산을 매수했어도 소유권 변경 전, 세입자가 기존 집주인에게 갱신요구를 했다면 세입자의 계약갱신요구권이 인정된다는 법원 판결
https://bit.ly/3zNaM2t
■ '톱50' 대장주 아파트 다시 '고공행진' (헤럴드)
- 8월 KB선도아파트 50지수 1.81% 상승, 고가 아파트 오름폭 다시 가팔라져
- "보유세 부담 보다 집값 상승 기대감 더 커"
https://bit.ly/3jJrwSn
■ 확산되는 '중도금대출 불가' 공포, 광교 이어 봉담·수지도 "불투명" (파이낸셜)
- "반강제 청약포기 될라" 불안감 고조, 대출조이기 분위기에 은행도 소극적
https://bit.ly/3yIdEfr
■ '억대 프리미엄' 붙는 민간임대, 주변 전셋값보다 비싼데, 왜 (머투)
- 부동산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는데다 전세난까지 가중되면서 장기간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다는 점이 각광
- 일각에서는 '패닉바잉' 현상과 '전세난'이 각종 규제와 맞물리면서 나타난 시장왜곡현상이라고도 지적
https://bit.ly/38Hpb49
■ 서울 청약 경쟁률 5년간 급등 "올해 최고 371대1" (조선)
- 2017년 강북구 경쟁률 2.7대 1, 2020년부터 자취 감춘 한자릿수 경쟁률, "주택 패닉바잉 영향"
https://bit.ly/3zLTVNp
■ [몸값 오른 꼬마빌딩] 거래 늘고 가격 '쑥쑥', 유동성 효과 '톡톡' (뉴시스)
- 시중 자금 늘자 중소형 빌딩 시장으로 몰려, 3.3㎡당 평균 거래가격 6529 → 7527만원
- 코로나 타격 상권 부진에도 시세차익 투자, "대출 규제 등으로 예전보다는 소강 상태"
https://bit.ly/3jJHZ97
■ [몸값 오른 꼬마빌딩] "금리 오르면 감당 못해", '묻지 마 투자' 주의 (뉴시스)
- 주택시장 규제 강화에 상업용 부동산 '인기', 중소형 빌딩 거래량 지난해 대비 84% 상승
- 코로나 여파에 공실 늘고 임대수익률 줄어 "향후 대출금리 인상 시 이자 감당 힘들 수도"
https://bit.ly/38Fpn3N
■ 아파트 못 잡자 오피스텔 향하는 실수요, 매매·전세 최고치 (뉴스1)
- 인천·경기, 중대형 '아파텔' 중심으로 가격 상승세 뚜렷, "규제 적어 실수요자 유인, 환금성·수익 측면선 유의해야"
- 과거에는임대수익을목적으로오피스텔을매입했지만, 요즘엔주거용으로오피스텔을찾는실수요자가늘어났다는것이전문가들해석
https://bit.ly/3kVNilk
■ 하나은행, 7월 뉴욕 맨해튼 부동산 대출 '톱10' (더구루)
- 하나은행, 12층 건물 구매자금 690억 대출. 7월 맨해튼 부동산 대출 중 10번째 큰 액수
- 지난 7월 맨해튼 지역 부동산 대출 1위는 크레디트스위스 자회사 컬룸파이낸셜이 매디슨 지역 가고시안 갤러리 건물에 제공한 상업부동산저당증권(CMBS) 대출로 대출액이 2억3800만 달러(약 2750억원)
- 2위는 팩웨스트은행과 스퀘어마일캐피탈이 첼시 소재 복합건물 사업에 실행한 1억8300만 달러(약 2120억원) 규모 건설자금 대출
https://bit.ly/3tl8Rj1
■ 크래프톤, 부동산에 쏠린 투자활동 (더벨)
- 사업역량 강화를 위해 드림모션(400억)과 비트윈(99억) 등을 M&A했지만 성수동 부지 매입 등에 950억원 넘게 투입한 영향
- 가장 많이 투자한 분야는 부동산, 올 상반기에만 951억원을 투자부동산 취득에 사용.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의 45%
https://bit.ly/3h6WsKS
■ "통장 만들러 이제 편의점으로 갑니다" 하나은행의 '파격' (한경)
- 하나은행과 CU 운영사 BGF리테일은 업무협약을 맺고 미래형 혁신 점포와 디지털 신사업을 공동 추진
- 신한은행도 GS25를 운영하는 GS리테일과 업무협약을 맺고 은행 지점이적은 격오지와 도서지역을 우선으로 금융특화 편의점구축
https://bit.ly/3BDSwca
■ "고급 브랜드가 뭐길래" 정비사업지 곳곳서 시공사 해지 요구 (조선)
- 시공사 교체 움직임이 일어난 건 아파트 브랜드 때문
- 건설사들이 선제적으로 고급 브랜드를 비(非) 강남권 사업장에 적용하자고 제안하는 것도 최근 트렌드
https://bit.ly/2X0W1L0
■ 공급 부족 심각한 국민평형 84㎡, 민간 분양에서 채운다 (대한경제)
- 이달 서울 분량 1850가구 중 84㎡ 958가구로 51.7%
- 동대문 이문1구역 래미안 491가구 달해 관심 집중
https://bit.ly/2X0FPcJ
■ 서울시, 신탁대행자 방식 정비사업 관리 소홀 (대한경제)
- 내역 없는 입찰 시행 간과, 공사비 분쟁 키워
- 공공지원제 취지 무색, 조합원 피해 우려
https://bit.ly/3h3Uf2P
■ HDC현대산업개발
• HDC현산, GTX-C 철로따라 꽃길 걷는다 (시사저널)
- 의정부 군부지의 도시개발사업, 광운대역세권 개발사업 등 GTX-C로 지가상승 기대
https://bit.ly/3DS2ecQ
■ DL건설
• DL건설, '대세'인 ESG채권 흥행도 실패한 이유 (서경)
- 최대 1,000억 자금 조달 계획했다 물거품
- DL 인지도 낮고 신설 법인 한계 극복 못해
- 어중간한 'A-' 등급에 ESG투자자도 외면
https://bit.ly/3zN6Dvb
■ KCC건설
• KCC건설, '광명 퍼스트 스위첸' 청약마감, 최고 150.8대 1 (매경)
- 평균 경쟁률 36.7대 1 기록
https://bit.ly/3n8CoLM
생각이 실현되는 하루되십시오.
감사드립니다.

제공 -미래건설 장태일 부회장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