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8. 3 부동산개발/금융 동향 ] | |||||
---|---|---|---|---|---|
작성자 | lizbae | 작성일 | 21-08-05 15:31 | ||
■ 테이퍼링 운 띄운 美, '금리 인상→집값 하락' 본격화? (뉴시스)
- 美 연준 "자산 매입 목표 진전 이뤄", 양적 완화 축소 속내 드러냈단 평가 - "금리 인상" 부총리 잇단 경고에도 수도권 가격 상승률·청약 경쟁률 高 - 전문가 "공급 부족, 집값 못 잡는다" https://bit.ly/3ih9p5N ■ 2023년까지 다주택 안 팔면 양도세 폭탄, 與 2일 개정안 발의 (뉴스1) - 실제 1주택자 된 시점부터 기산해 장기보유특별공제 적용 - '최대 80%' 장기보유특별공제, 신규 주택 취득자부터 축소 https://bit.ly/2VrLIOX ■ 로또분양·분양지연 '기현상' 양산, "민간 규제 완화해야" (파이낸셜) - 불필요한 가수요 자극해 시장 과열, 분양물량 급감·재건축 지연 역효과 - 택지 종류 따라 차등화된 규제 필요, "단계적 축소 후 폐지해야" 의견도 https://bit.ly/3xhIJpJ ■ '21년 수도권 아파트 입주물량은 예년 대비 23.4% 증가하며, 아파트 인허가 실적도 전년 동기대비 17.4% 증가 (국토부) - 하반기 수도권 아파트 입주물량 9.6만호는 예년('11~'20, 8.0만호) 대비 약 21.0% 많은 물량 - 非아파트를 포함한 전체 주택기준으로도 수도권 입주물량은 예년 대비 19.2% 증가 - 향후 10년간 수도권에 매년 1기 신도시 수준의 공급이 지속 https://bit.ly/2WL7yxK ■ 혁신도시 등 이전공공기관 종사자 특공은 현재 기한이 종료(2019.12.31.)되어 운영되지 않습니다 (국토부) - 혁신도시 주택특별공급은 지방이전 공공기관 종사자들의 주거 안정을 지원하기 위해 2011년 9월에 도입*되었으며, 2019년 12월 31일을 기한으로 현재 적용이 종료된 상태임 * 「지방이전 공공기관 종사자 등에 관한 주택특별공급 운영기준」(국토교통부 고시, 2011.9.16. 제정 시행) https://bit.ly/3rL009L ■ 지역 활력 제고를 위한 주거플랫폼 사업 본격 추진 (국토부) - 지역수요 11개, 투자선도 1개 등 지역개발 공모사업 총 12개 선정 - 주거, 생활SOC, 일자리가 연계된 주거플랫폼 조성, 450억원 국비 지원 https://bit.ly/3fjL1i3 ■ 30대가 아파트 시장 주도한다…10건 중 4건이 30대 매수 (이데일리) https://bit.ly/3llOhgE ■ 국토연구원 "주택가격 상승기에 군집행동으로 거래 더 활발" (연합) https://bit.ly/3inE41r ■ ‘넘사벽’ 돼버린 아파트 청약에… 진입장벽 낮은 도시형 생활주택 반사이익 (아시아경제) https://bit.ly/3ylS553 ■ '동서울터미널 스타필드' 속도낸다, 신세계, 사업계획안 제출 (머투) - 신세계는 서울시와 협상이 완료되는 대로 본격적인 개발을 추진한다는 계획 https://bit.ly/3fi1sve ■ 동문건설, 새 브랜드 ‘동문 디 이스트(THE EST)’ 론칭 (헤럴드) https://bit.ly/3A4Vshn ■ 부동산 광풍에 디벨로퍼도 급증… 올 상반기 신규업체 두 자릿대 증가 (조선) https://bit.ly/3ihziCn ■ "갱신권, 쓸수가 없다" 목동 아파트 5억-7억-10억 '삼중 전셋값' (머투) - 임대차2법 도입 1년, 이중가격이 문제? 현실은 '삼중가격' - 전세가격 '삼중가격' 시대, 은마 84㎡ 5억-7억-10억원, 잠실엘스 84㎡ 8억-11억-14억원 - 갱신율 77% 라고요? "갱신권 못쓰고 40% 올려준 세입자는 억울합니다" https://bit.ly/3C0ODze ■ 다음달 수도권서 '로또 아파트' 쏟아진다 (이데일리) - 수도권 거주자 청약 가능한 '강일 어반브릿지', 베르몬트로 광명·안양프라우드힐도 주목 - 용인 힐스테이트 몬테로이는 '비규제 지역', 가점 물량 많아 4050세대 관심 높을 듯 https://bit.ly/3icpEB2 ■ 코로나19 시대 속 아시아 태평양 지역 기업들이 원하는 오피스 공간은? (CBRE) - 사업 환경 개선으로 인한 낙관적 전망 확대, 향후 3년간 부동산 포트폴리오 규모를 확대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 - 경기 회복 가속화 및 백신 접종률 상승으로 기업들이 점차 직원의 오피스 복귀를 장려함과 동시에 보다 높은 수준의 유연성과 선택 안을 제공하고자 하는 움직임 https://bit.ly/3ysVnmY ■ 상반기에만 19兆 몰린 서울 빌딩시장, 고점 논란 여전 (헤럴드) - 서울 업무상업시설 거래량 2145건 역대 최고, 거래금액도 19조3540억원으로 작년 2배 넘어 - 시중 유동자금이 규제 적은 빌딩시장으로 몰려, 유명인 매각 러시 등에 이미 고점이라는 분석도 - "수익화까지 버틸 자금여력에 따라 희비 갈릴 것" https://bit.ly/2V0Vkkc ■ 경매시장에서 수도권 오피스텔 인기 역대 최고 (헤럴드) - 서울 오피스텔 낙찰가율 102.4%, 두달 연속 낙찰가율 100% 넘어, 인천 오피스텔 인기도 역대 최고 - 아파트 대체용 상품으로 수요가 늘면서 낙찰가율이 역대 최고치로 상승 https://bit.ly/3zRkX5w ■ '유통업=땅부자'는 옛말, 땅 팔아 온라인 투자나선 유통사들 (브릿지) - 신세계그룹 이마트 본사 건물까지 유동화, 잇단 M&A에 들어간 자금 충당 - 인수 매물 살피는 롯데도 자산 매각으로 3조원 확보, 현재 롯데백화점 본점까지 유동화 목록에 올려놓고 검토 https://bit.ly/3lojvUe ■ 키움, '이천안평리복합·인천주안' 물류센터 품는다 (파이낸셜) - 우선 협상대상자 선정, 안정적 배당수익·장기적 매각차익 기대 - 이천안평리복합물류센터는 오는 10월 준공 예정인 복합 물류창고, 인천주안물류센터는 임대율 100%로 네파가 책임임차 https://bit.ly/3ifXAMY ■ 인트러스투자운용, 역삼 하이츠빌딩 710억원에 재매입 (이코노미스트) - 밸류에드1호 펀드, 3년 만에 매각 차익 200억원, 260억원 리츠 조성·500억원 대출로 자금 조달 - 역삼 하이츠빌딩 딜(Deal)은 매도와 매수 주체가 모두 인트러스투자운용으로 동일 https://bit.ly/3xcKKUd ■ 전국 정비사업 줄줄이 유찰, 경쟁 회피로 수의계약 증가 (대한경제) - "과열 경쟁으로 인한 리스크 줄이기 위한 것" - 분양시장 불경기를 감지한 건설사들이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무리한 수주 경쟁 피해 - 주요 입지를 제외한 사업장의 경우 과도한 경쟁을 진행할 경우 사업성 낮아져 https://bit.ly/2WH9t6t ■ 리모델링이 새 먹거리, 대형 건설사 수주참전에 경쟁 격화 (조선) - 대형 건설사인 현대건설, GS건설, 삼성물산, 대우건설 등은 리모델링 사업 후발주자 - 재건축 사업에 까다로운 규제가 덧대지면서 리모델링 사업으로 우회해 개발에 나서고 싶어하는 욕구가 늘어난 데 따른 것 https://bit.ly/3fggjWS ■ 건설사 "새 수익원 '의료복합단지' 잡아라" (글로벌이코노믹) - 의료시설에 주거‧상업시설 결합, 고령인구 헬스케어 수요 흡수 '가치 증대' - HDC현산‧우미건설, 아산병원과 손잡고 2.4조원 인천청라의료복합단지 수주 - 한화건설, 부산 노인복지주택 메디타운 공사 따내, 하남 의료기관도 노려 https://bit.ly/3yu2YlD ■ GS건설 • '외형 주춤' GS건설, 오너 4세 신사업은 급성장 (더벨) - 신사업 매출 50% 이상 점프, 허윤홍 사장 담당, 상반기 4300억 수주 https://bit.ly/2VqfYtv ■ HDC현대산업개발 • 노원구, 광운대 역세권 개발 본격, 항운노조·현대산업 갈등 해결 (뉴시스) - "2022년 하반기 예정대로 착공할 수 있을 것" https://bit.ly/3C3rGvc • HDC현대산업개발, 도급공사 넘어선 디벨로퍼 '수주' (더벨) - 2분기 자체 주택 신규수주 비중 55%, 용산·공릉·청라 '연이은' 대형 프로젝트 https://bit.ly/3jcpRTY ■ 대우건설 • KDBI, 대우건설 매각 속도, 중흥건설과 MOU 체결 (시사저널) - 50.75% 지분 매각, 매각가 2조원 추정 https://bit.ly/37dlsL1 ■ 자이에스앤디 • 자이에스앤디, 압도적 '주택' 성장세, 세컨티어 공략 성과 (더벨) - 반기만에 지난해 연 매출 '돌파', 대구·경주서 수주규모 확대 https://bit.ly/3C40YCr ■ 동부건설 • [한진중공업 M&A] 동부건설 컨소, 신금투 우군 확보, 거래종결 속도 (더벨) - 인수금융 1000억 조달 예정, 총 거래가 4000억 이하 https://bit.ly/3yj0SVw ■ SK에코플랜트 • SK에코플랜트, 폐기물 소각기업 3곳 추가 인수 (SR타임스) - 도시환경, 이메디원, 그린환경기술 등 3개 기업 인수 - 2,000억원 규모 자금 투입해 각 기업 주식 전량 확보 나서 https://bit.ly/3ykZGAK 오늘도 만족할만큼 큰 성과가 있는 하루되십시오. 감사드립니다. 제공 - 미래건설 장태일부회장 |
|||||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