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8. 23 부동산개발/금융 동향]
작성자 lizbae
■ 청량리·영등포 개발기대감 쑥..."주거환경 변신" (이데일리)
https://bit.ly/3y7290J

■ 삼부·목화 통합 재건축 추진···50층 주상복합 들어선다 (서경)
https://bit.ly/3z2H0pL

■ "영끌·빚투 차단해 집값 반드시 잡는다"…정부의 마지막 승부 통할까 (디지털타임스)
https://bit.ly/3sxo9Rg

■ 서울시, '박원순표' 노들섬 문화공간 사업 감사 착수 (연합)
https://bit.ly/3j3iYFW

■ [Q&A] 공인중개사시험 진입장벽 높이고 '반값 보수' 추진 (머니S)
https://bit.ly/2XH5wPH

■ 깐깐한 이마트, 성수동 본사 매각 제한적 IM 배포 (더벨)
- IM을 대부분 부동산디벨로퍼, 부동산 개발 전문 운용사, 증권사 등 업계 최상위권 업체에 제한적으로 배포
- 용도변경 이슈도 관전포인트, 사업 부지를 확보해 놓는 게 최우선 과제, 매입 후 순차적으로 문제를 해결해가는 방식 추진 전망
https://bit.ly/2UA8Zyk

■ SK디앤디의 역삼동부지, 아스터개발이 매입 (팍스넷)
https://bit.ly/3k7T2bd

■ 브레인시티 의료복합개발사업, FI에 미래에셋 (팍스넷)
https://bit.ly/3sv8EcN

■ 대방건설, 음식점업체 2곳 계열사 편입 (팍스넷)
https://bit.ly/3k6ojeR

■ 무능의 극치인가, 오락가락 당정, 세번째 '부동산 정책 철회' (서경)
- 종부세 '상위 2%案' 폐기, 1가구 1주택자 종부세 부과 기준은 돌고 돌아 공시가격 11억 원 초과로 완화
- 종부세 대상자 절반으로 줄어들며, '조세법정주의 위반' 논란만 증폭
- 재건축 실거주·임대 稅혜택 이어 설익은 정책 던졌다 부작용 초래
- 시장 혼란 커지며 정책불신 자초
https://bit.ly/3ghLVfl

■ '도심 고밀 개발' 현물 보상받으면 5년내 다른 공공주택 분양 못받는다 (파이낸셜)
-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 주거재생 혁신지구 사업지 주민들에게 공공 주택을 우선 분양
- 주택을 우선 공급받는 세대주나 세대원은 공공분양주택의 분양계약 체결을 위한 공고일 전 5년 이내 다른 공공분양주택을 우선 공급 받을 수 없도록 함. 이 때 우선 공급이 제한되는 지역은 투기과열지구에서 공급되는 주택으로 한정
https://bit.ly/3z4auDY

■ 태릉CC 개발계획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으며, 구체적인 계획이 확정되는 대로 발표할 예정입니다 (국토부)
- 태릉CC 개발계획과 관련하여 언론에서 제기한 공급물량 축소 등 구체적인 사안은 확정된 바 없음
- 국토교통부는 노원구 등 관계기관과 태릉CC 개발계획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협의를 진행 중이며, 개발밀도 조정 등 개발계획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8월 중으로 확정하여 발표할 계획
https://bit.ly/3mhrqTH

■ 새 아파트 늘자 분당-세종 전셋값 꺾여, "공급이 답" 입증 (동아)
- 수도권 전셋값 역대 최고폭 뛰어도, 신축 3800채 풀린 분당은 떨어져, 집주인들 "값 낮출까" 문의 이어져
- 세종도 올해 입주물량 대폭 늘며 매매-전세가 동시 하락 '전국유일', 내년 매물 소진되면 다시 오를듯
- 내년 입주 물량 적어 가격 급등 우려 여전, "충분한 공급 지속돼야 가격 안정"
https://bit.ly/2W5LsG4

■ 역대급 부동산 불장, 금리 인상이 '소방수' 될까 (세계)
- '한은 연내 인상 카드' 전문가 분석
- "금리 1% 오를때 집값 0.7%P 하락", 다양한 연구·이론에 정부도 기대감
- 전문가들 "효과는 제한적" 한목소리
- "올리더라도 여전히 0%대 파장 안 커, 과거 정부서 수급이 관건 이미 입증"
https://bit.ly/2W9SPfN

■ '거래 절벽'에도 서울 아파트값 '철벽', 왜? (뉴시스)
- 7월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맷값 사상 첫 11억 돌파
- 매물 부족으로 수급불균형 가중, 정책 신뢰 하락, "규제 후 집값 다시 상승 반복", '학습 효과' 작용
https://bit.ly/3y3AvSz

■ 이촌 신동아·한강맨션 주민 신났다, 한강변 15층 규제 풀려 사업성 쑥↑ (매경)
- 서울시 한강 르네상스 재가동
- 한강변 아파트 높이 규제로 현재는 강과 가까울수록 손해
- 초고층 길 열려 사업성 쑥, 이촌 신동아·한강맨션 수혜
https://bit.ly/3muMoyT

■ 농협銀, 초유의 신규 주담대 전면 중단, 타 은행으로 확산되나 (국민)
- 비주택 포함, 집단대출 등은 제외
- 농협銀 "가계대출 억제 필요성 공감"
https://bit.ly/2W9eeWu

■ 몸값 치솟은 서울 도심권 오피스텔, 임대 수익률 3%대 '뚝' (파이낸셜)
- 서울 도심권(종로구, 중구, 용산구) 임대수익률은 3.99%로 역대 최저, 수익률 하락 당분간 지속 전망
- 임대수익률이 하락한 이유는 오피스텔 매매가격이 상승하면서 투자금이 높아졌기 때문
- 수도권을 중심으로 오피스텔 공급도 크게 늘어나고 있어 공급이 집중된 지역의 경우 향후 공급과잉 이슈를 주의해야 한다는 지적
https://bit.ly/3sw2BVj

■ JLL, 韓 최초 호텔·호스피탈리티 투자 자문 전담 사무소 개설 (서경)
- 한국은 최근 몇 년 동안 호텔 개발이 급격히 증가했고 초기의 서울 중심 개발이 점차 다른 지역으로 확장되고 있는 추세
- 2021년 상반기 총 미화 37억 달러 규모에 달하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 호텔 거래 가운데 중국과 일본, 한국이 86%를 차지
- 한국은 △2019년 14억 달러 △2020년 7억 7,000만 달러로 아시아 태평양 지역 호텔 거래 규모 4위를 기록
- 올해 상반기 한국 시장 호텔 거래 투자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55% 이상 증가한 8억4,900만 달러
https://bit.ly/2XIKmAH

■ "도시 정비 줄이고 도급 사업 늘리고", 대형 건설사의 변화된 주택 전술 (한경)
- 정부 규제 반사이익, 분양 시기 조절하는 건설사
- 정부 규제에 전국 집값 1년새 18.19%↑, 늑장 분양하면 오히려 수익 상승
- 재건축에 대한 가혹한 규제에 '리모델링' 시장 주목
https://bit.ly/2W9G9Fu

■ '5800억' 백사마을 재개발 본격화, 건설사 수주전 '후끈' (이투데이)
- 현대·GS·포스코·대우·한양 '5파전'
- 수주 결과 따라 수주실적 판가름
- 오는 10월 5일 시공사 선정 입찰을 마감하고 11월 시공사 선정 목표
https://bit.ly/3mgWG5n

■ 민간 철도역에 공공 임대주택, 부대사업 활성화한다 (대한경제)
- 민간투자사업의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부대사업이 가능하도록 법 개정을 추진
-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포함된 사업 중 총 7.5조원 규모의 5개 사업을 민간투자사업으로 우선 추진하고 신규 민자사업에 혼합형 민자방식(BTO+BTL)을 적극 활용
https://bit.ly/37UzEsK

■ 삼성물산
• 국내 첫 스마트 빌리지 시공, 삼성물산, 모듈러 시장도 선점한다 (서경)
- 모듈러 공법은 전통적 건설공법의 불확실성과 낮은 생산성을 개선하기 위한 대안으로 국내외에서 주목
https://bit.ly/3giqPgW

■ 제이알글로벌리츠
• 제이알글로벌리츠, '맨해튼 빌딩' 지분 인수 효과는 (더벨)
- 배당률 7%대 → 8%대 상승 기대, 하반기부터 운용수익 인식 전망
https://bit.ly/3sJZJEB

■ 코람코에너지리츠
• 코람코에너지리츠, 주유소 개발 속도낸다 (한경)
- NH·삼성證 금융자문사 선정
- 주유소 개발용 실탄 조달 착수
https://bit.ly/3iWY7Uq

새로운 한 주 멋지게 출발하십시오.
감사드립니다.

제공- 미래건설 장태일 부회장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