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9. 14 부동산개발/금융 동향]
작성자 lizbae
■「2021 대한민국 녹색건축대전」 결과 발표 (국토부)
https://bit.ly/38YyPQd
■ 판교 임대료 여의도 따라잡았다 (파이낸셜)
https://bit.ly/3A1NXYR
■ 서울 주택 구입자 15% 신용대출 이용…평균 1억500만원 (뉴시스)
https://bit.ly/3nsOwHx
■ 충청도 맞닿은 수도권 최외곽지역도 역대 최고 상승 (헤럴드)
https://bit.ly/3A5ZZ3y
■ 빌라 반지하 4억 전세, 실상 알고보니…"돈 몽땅 날릴 판" (한경)
https://bit.ly/3tJeWWU
■ 규제 카드 만지작‥생숙 투자 유의점은 (이데일리)
https://bit.ly/2Xa68wU
■ "주식 가치 높인다"…한라, 300억 규모의 자사주 매입 소각 결정 (매경)
https://bit.ly/3C2Ojis
■ 오세훈표 재건축·재개발 '통합심의'로 빨라진다 (매경)
- 날개단 서울 민간재개발
- 교통·환경평가 등을 통합해 사업시행계획까지 기간 단축
- 기존엔 인가까지 5~6년 걸려
https://bit.ly/3E6IDFX
■ 주거정비지수제 폐지, 서울 재개발 규제 완화 '본궤도' (한경)
- 시의회, 정비기본계획 통과
- 사업기간 단축 '공공기획' 도입,재개발구역 개발 기대감 커져
https://bit.ly/3tBYxn1
■ 지천 주변도 확 바꾼다, 오세훈 '서울비전 2030' 내주 발표 (머투)
- 서울비전 2030은 향후 10년 미래 서울의 청사진을 그리는 계획
- 서울비전에는 제2의 한강 르네상스격인 '지천 르네상스' 구상안도 포함
https://bit.ly/3ElcNWn
■ 원희룡 "30년 재건축 연한 폐지, 최대 250만가구 공급" (땅집고)
- 재건축을 막고 있는 안전진단 기준과 현재 30년으로 정해져있는 재건축 연한을 폐지하고, 재개발 사업의 걸림돌으로 꼽히는 노후도 기준을 없애 전국에 100만가구를 공급하겠다는 구상
- 3기 신도시 계획을 차질없이 시행해 공공택지에 125만 가구 공급, 지방거점도시중심으로 신규택지 발굴해 25만가구 짓는 구상
https://bit.ly/3lhieg4
■ 부동산 '정부 실패' 뼈때린 KDI포럼 (디타)
- 세제·규제로 집값 상승 부추겨, 인허가·분양 감소 지표로 확인, 박원순 재개발·재건축 규제 영향도
- "민간주도 정비사업 활성화로 주택공급 늘려야"
https://bit.ly/3k6eBdm
■ 서울 빌라촌 개발하는 '공공 소규모 재건축' 사업 탄력 (아시아경제)
- 천준호 의원 발의 '빈집정비법' 개정안 국회 상임위 법안소위 통과
https://bit.ly/3k4AsC7
■ 정부, 바닥난방 규제 완화한다, 30평 오피스텔 공급 물꼬트나 (매경)
- 주택부족에 11년만에 바닥난방 규제 완화, 30평 오피스텔 바닥난방 허용
- 집값 급등과 전세대란 심화, 중대형 규제완화 요구 거세져
- 밀려난 3~4인 가구에 '숨통'
https://bit.ly/3npk7dw
■ 오피스텔 규제 완화한다더니, 실제론 '건축 제한' 대못질한 국토부 (서경)
- 국토부, 지난 3월부터 '오피스텔 계획 가이드라인' 시행
- 공공주택지구 내 주거용 오피스텔,전체 주택 수의 10~25%로 제한
- 학교 등 기반시설 부족 내세우지만,정부 예측 실패 책임 민간에 전가
- 오락가락 행보, 시장 혼선 부추겨, 건설업계선 "재산권 침해" 반발도
https://bit.ly/3k0Xyti
■ '5만 → 3.6만 가구', 1년 앞도 못보는 정부 공급전망 (서경)
- 서울 내년 아파트 입주물량 28% 급감, 홍남기 "공급 확대 체감" 장담했지만, 물량 축소로 신뢰도 추락 불가피
- 8·4. 2·4대책은 지자체·주민 반발, "규제로 공급 보릿고개 올 것" 지적도
https://bit.ly/3tIwMJC
■ '둔촌주공 1만2000가구 등 7만가구 분양속도 낸다' 분양가 규제완화 검토 공급 숨통 (헤럴드)
- 정부, 분양가 규제 개선 가능성 시사
- 분상제 두고 지자체마다 제각각 기준 적용 불만
- HUG의 고분양가 관리제, 지방 공급난 가중 비판
- 건설업계의 사전청약 동참 위한 유인책이란 분석
- 둔촌주공 등 수만가구 분양에 속도낼 전망
- 오세훈 시장 "국토부 인식전환 환영"
https://bit.ly/38WJivd
■ 거래절벽 속 아파트값 계속 오르는 세 가지 이유 (조선)
① 수요 줄었지만 매물은 멸종, '부르는 값'이 곧 시세로
② "옆 단지 신고가만큼 호가 올릴게요" 빨라진 파급효과
③ 모두가 예상하는 내년 전세난 "계약갱신청구권 끝나면 갈 곳이 없다"
- 공급은 하세월, 당장 매물 늘리려면 '양도세 완화'가 해법
https://bit.ly/3tAxR5U
■ 전세가 사라진다, 서울 아파트 세입자 40% 월세살이 (이데일리)
- 전체 임차 계약 중 월세 비중 40% 육박, 비싼 아파트 싼 아파트 가릴 것 없이 월세 비중 올해 들어 꾸준히 늘어
- 강남 아파트 45%, 중랑 52%가 월세, 임대료도 작년보다 2배 오른 곳 수두룩, "내년이 더 걱정"
https://bit.ly/3li7wWD
■ "20억짜리 강남 아파트보다 낫다" 개인투자자들 몰리는 곳 (한경)
- 대출규제 '풍선효과', 서울 오피스빌딩, 세계서 가장 많이 올랐다, 글로벌 도시 중 상승률 1위, 상가·꼬마빌딩 가격도 고공행진
- 상업용 빌딩 2년째 급등 이례적, 작년 11%,올 1분기만 7.3% 뛰어, 주택 옥죄자 오피스로 투자 몰려
https://bit.ly/39312p2
■ 생숙 뜨니까 덩달아 뜬다, '민간임대'·'소규모 오피스텔' 뭐길래 (이데일리)
- 전매제한 없고 주택수에도 포함 안 돼, '생활형 숙박시설'과 판박이 민간임대아파트
- 임차권, 웃돈까지 붙어, 규제 가능성은 변수, 100가구 미만 오피스텔도 전매제한 없어 노려볼만
https://bit.ly/3nqwmGt
■ 공유 오피스에서 호텔, 물류센터까지, 각양각색인 대기업 부동산 개발 (조선)
- 부동산 관리회사를 자회사로 두거나 리츠를 활용하는 방식으로 공유 오피스부터 호텔, 물류센터까지 다양한 방식의 개발
- 산업 환경 변화로 유휴부지가 생기거나, 오랜 세월이 흘러 입지의 성격자체가 바뀌면 기존과는 다른방식으로 부동산을 이용해야
- 대기업들은 자산의 효율적인 이용방식을 고민하면서, 다양한 부동산 활용은 트렌드로 이어질 것
https://bit.ly/3tA0L6g
■ '3800억 투자' 의왕 타임빌라스, 롯데 위상회복 보인다 (더벨)
- 경기·서울 남부 수요 타깃, 가족 단위 고객 등 남녀노소 '소풍' 오듯 자연친화·체험형 공간 구성
- 부지 매매가 포함 3800억원 투자, 평일 등 장기적인 방문객수 확보 관건
https://bit.ly/3k2J9wT
■ 지방 대어급 리모델링 시동, 대형건설사 눈독 (대한경제)
- 예상공사비 3조4000억 부산 LG메트로시티 동의서 접수 시작
- 창원 토월성원아파트ㆍ대구 메트로팔레스도 추진위 결성
https://bit.ly/3k3iQGE
■ DL이앤씨
• 북가좌 승리한 DL이앤씨, 방배서 계약 해지 임박 (프라임경제)
- 12일 임시총회서 조합원 417명 중 해지 찬성 220표 기록
https://bit.ly/2YH0N0K
■ 삼성엔지니어링
• 삼성엔지니어링, 잇딴 대형 수주·그린 에너지 사업도 순항 (서경)
- 국제유가 상승에 발주환경 개선, 상반기만 3조1,270억 일감 따내
- 2분기 이익 '9년 만에 최대 실적', ESG 친환경 신사업 기대도 커져
https://bit.ly/3z0p4eV
■ 한샘
• 한샘 인수나선 '롯데', 백화점+건설+가구 시너지 노린다 (아시아경제)
- IMM PE펀드에 2995억 출자,체험형 오프라인 매장 확대
- 롯데하이마트·롯데건설 등과 다양한 분야 협업 기대
https://bit.ly/3lcAU0u
• [한샘 M&A] 총대 맨 롯데쇼핑, 하이마트 등 계열사와 연합할까 (더벨)
- 'PEF-SPC-한샘' 출자구조 전략투자, '가구·인테리어' 오프라인 잠재 시너지
https://bit.ly/3ljK63h
• [한샘 M&A] 롯데 맞손 IMM, 최대 9000억 인수금융 조달 전망 (더벨)
- 신한은행 등 주선,블라인드펀드서 3000억 활용
https://bit.ly/3C1K6eT

행복한 마음이 느껴지는 하루되십시오.
감사드립니다.

제공 ~ 미래건설 장태일 부회장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